본문 바로가기

읽은책, 읽고 싶은책

오원 장승업의 삶과 예술

 

이양재 지음
조선의 마지막 천재 화가

 

 

 

위 그림은 오원 장승업의 홍매도 10폭 병풍이다.

취화선이란 영화로 이제 어린아이도 알만큼 익숙해진 오원 장승업의 생애를 그의 남아있는 작품들과 그를 이야기한 참고 자료를 통하여 자세히 알려 주고 있다.
간단히 요약하자면
1843년에 태어난 대원 장씨이며 확실한 날자와 태어난 장소는 모른다.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이곳저곳으로 떠돌다가 스무살무렵 역관 이응헌의 집에 들어가서 머슴을 산다.
이응헌은 서화와 금석문 수집가이며 고서화에 안목이 높은 사람이었고, 어쩌면 그림에 소질이 있었던 장승업이 스스로 그집을 택해 들어갔을 지도 모른다.
이로써 일자무식이었던 장승업이 중국의 그림들과 서화를 접하며 그림에 대한 안목을 키우고 그림을 그리는 계기를 갖게 된다.
스승이 없을 수는 없고, 아마도 혜산 유숙에게서 그림을 배웠다고 전해진다.
한번 보면 잊지않고 그대로 그려내는 천부적인 소질을 갖고 있었으며 술과 여인을 좋아하였는데 특히 술은 마시면 말술을 마시고 한달을 깨지 않은적도 있다고 한다.
처음에는 역관들의 사이에서 오원의 이름이 알려지고 임금인 고종의 귀에 까지 알려져 화원으로 임명되고 그림숙제를 받으나 천성적으로 얽매이는 것이 싫은 장승업은 술집으로 도망치기 일쑤, 결국은 민영환의 집에서 술을 대접받으며 그림을 그리게 되었으나, 또한 거기서도 도망쳐버린다.
혜원, 단원등의 화가들의 원자가 들어간 이름을 따라 자신도 스스로 오원이라 지었다.

종이의 규격이나 틀에 구애되지않고 그림을 그렸으며, 산수화 인물화, 화조,영모, 물고기등 못그리는 그림이 없었고 기명절지도를 조선에서는 처음 사용하였다.

누구에게나 쉽게 그림을 그려주었으나 힘있는자가 강제로 그림을 원하는 경우는 죽어도 응하지 않았다 한다.
산수화보다 화조도나 영모도가 많이 전하며, 노안도를 많이 그렸다. 기명 절지화에는 벼루를 엎어놓는등 자신의 심경을 표현한듯한 그림도 있다.
술에 취해 흥이나면 그림을 그리다가 흥이 깨어지면 그만둔 미완성작이 많았는데 그것을 나중에 소림 조석진과 심전 안중식이 마저 채워 그렸다고 한다.

결혼은 한번 한적이 있으나 아이는 없으며 죽음도 어디서 어떻게 맞았는지 말들만 무성하다.
술에 취해서 논두렁에 넘어져서..... 혹은 스스로 원했던 신선이 되었는지도.....

후기에 참고 자료를 실었는데 이글을 읽는 재미도 쏠쏠.
이정직 (석정집)- 제장오원십폭사의경색화후
황현(매천집)- 제오원화벙
장지연(일사 유사)-장승업
오세창(근역 서화징) - 장승업
문일평(호암 전집) -장승업
김용준(근원 수필집)- 오원 질사
유복열(한국 회화 대관) -장승업
김은호(서화 백년)- 오원 이야기
리재현(조선 력대 미술가 편람) - 장승업
이창현(성원록) - 대원 장씨